전체 글
-
7-segment, pwm 제어라즈베리파이 2023. 12. 20. 20:53
PWM은 Pulse Width Modulation의 약자로, 디지털 신호를 상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모사하는 방법이다. PWM은 주로 디지털 출력핀을 사용하여 다양한 작업에 활용된다. 라즈베리파이에서는 GIPO핀을 통해 PWM 신호를 생성 할 수 있다. 그리고 라즈베리 파이의 PWM은 주로 LED의 밝기 제어, 서보 모터의 각도 제어, 소리 발생기의 음량 제어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PWM을 사용하면 아날로그 신호를 모사하느것이 가능해져, 다양한 장치와의 연동이 용이해진다. 원래는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하지만 Gpio핀은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제어를 진행할 때 pwm모드로 설정이 가능하다. (단, 하드웨어적으로 진행할 때는 PWM핀은 물리핀인 12번, 32번(pwm0), 33번(pwm1)만 진행가능하..
-
라우터 설정하기-2네트워크 2023. 12. 14. 15:42
이번에는 다른 유형의 라우터를 설정해 본다. 라우터 interface(활성화) 관련 명령어 모음이다. @ ip 주소설정 (ex. fastethernet 0/0 을 활성화하고 ip를 192.168.0.100/24로 설정) 1. Router> en( enable ) : 사용자 모드에서 관리자 모드로 전환 2. Router#conf t( conf terminal ) : 전역설정모드로 진입 3. Router(config)#int fas 0/0 (interface fastethernet 0/0) : interface fasethernet 0/0에 진입 4. Router(config-if)#no shutdown : 활성화 5. Router(config -if )#ip address 192.168.0.100 255...
-
공부일지 4리눅스 2023. 12. 14. 14:47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bin : 기본실행파일 /boot : 부팅시 필요한파일 /dev : 각종장치 /etc : 시스템 관리시 필요한 설정파일 /home : 사용자 계정의 홈디렉토리 /lib : 각종 라이브러리가 저장 /mnt : 마운트 될 파일시스템의 마운트 포인터 /proc : 시스템 관리를 목적으로 멤모리상에 만들어놓은 가상 디렉토리 /root : 루트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tmp : 임시파일을 만들고 삭제하는 디렉토리 /var :가변 저장디렉토리, 자료 데이터가 변경될때 저장되는 디렉토리로 시스템 작동 기록들과 네트워크에 관련된 기록파일들, 보안 기록을 저장하고 메일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메일을 받아 저장. /proc : 시스템 관리를 목적으로 메모리상에 만들어 놓은 가상 디렉토리로, 디렉토리 안의..
-
라우터 설정하기 -1네트워크 2023. 12. 12. 15:30
% 라우터에서 정보 확인하는 방법 1. Router> en( enable ) : 사용자 모드에서 관리자 모드로 전환 2. 정보 확인(여기서 확인하고 싶은 것들은 치면 된다.) -show interface : 인터페이스 정보 확인 -show user : 접속한 사용자 정보확인 -show ip route : 라우팅 테이블 정보 확인 -show flash : 플래쉬 정보 확인 -show process : process 정보를 확인 -show version : 소프트웨어 버전과 IOS버전 등을 확인 3. Router#copy r s(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저장 명령어 % 라우터의 전역설정 명령어 -기본게이트웨이 설정 (ex. 기본 게이트웨이를 192.168.0.10..
-
sw 제어하기라즈베리파이 2023. 12. 12. 14:55
-스위치의 경우 저항을 꼭 사용해야함 회로에 과도한 전압을 줄 수 있음 (저항을 사용하는게 좋다) -저번에 연결해본 LED는 스위치와는 다른 GPIO핀을 이용하여 연결한 뒤 코딩진행 GPIO핀 번호들은 저번에 올린 거 참고한다. -스위치가 눌리면 LED가 1초동안 켜지는 동작을 하는 코드를 작성했다. 이번에는 -Led 2개와 스위치 1개를 사용해서 스위치를 누르지 않을 때는 1번 led, 스위치를 누르고 있을 때는 2번 led가 켜지게 해볼거다. -스위치 2개와 led 2개를 이용해서 첫번째 스위치를 누를 때 첫번째 led가 켜지고 두번째 스위치를 누를 때 두번째 led가 켜지게 할 거다. (단, 초기상태는 led는 다 꺼져 있는 상태이며, 스위치를 누르지 않을 때는 led가 꺼져 있어야 한다.) -스위..
-
공부일지 3리눅스 2023. 12. 12. 14:22
1) umask: 현재 프로세스가 생성할 파일과 디렉토리의 퍼미션을 설정 파일일 경우 666, 디렉토리인 경우 777 에서 umask를 뺀 값이 현재 프로세스가 생성하는 파일과 디렉토리의 퍼미션이다. 파일을 생성할때 기본으로 적용되는 퍼미션을 664(rw-rw-r--)로 하고 싶다면 umask의 인자값으로 002를 사용하면된다. /etc/bashrc 파일에 정의되어 있다. 2) chmod, chown, chgrp [옵션][퍼미션][파일] chmod -c: 변경된 파일만 자세하게 보여준다. chmod -f: 변경되지 않는 파일에 대해서 오류 메세지를 보여주지 않는다. chmod -v: 작업상태를 자세히 보여준다. chmod -R: 경로와 그 하위 파일들을 모두 변경한다. chmod --help: 도움말을 ..
-
LED제어하기라즈베리파이 2023. 12. 11. 16:36
이제 LED를 연결해서 라즈베라피이를 구동해볼거다. -C파일을 생성 이름은 led.c -소스 작성을 위해 명령어 $ nano led.c 를 작성해서 실행파일을 만든다. 리눅스에서 c언어를 컴파일할려면 gcc라는 명령어를 사용해야한다. lwiringPi 옵션을 사용하면 컴파일러가 wiringPi 라이브러리를 링크하게 되고 그리고 -o led 옵션은 컴파일된 실행 파일의 이름을 'led'로 지정된다. -작성 완료후 gcc –o led led.c –lwiringPi -$ sudo./led 이러면 LED가 0.5마다 켜지고 꺼지고 반복된다. 이걸 토대로 다양한 제어도 가능하다. ------------------------------------------- Led 3개 동시에 0.5초간격으로 점등하게 할 것 --..
-
라즈베리파이 작동시키기라즈베리파이 2023. 12. 11. 16:08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서 작업해볼거다. 실습에 앞써 라즈베리파이os를 설치해야한다. 설치방법은 검색하면 자세히 나오기 때문에 생략한다. 그리고 오늘 해볼 실습은 Wiringpi와 c언어를 이용해 led 제어를 해볼거다. 그러기 위해선 Wiringpi는 최신 버전으로 설치 진행해야한다. -sudo git clone https://github.com/WiringPi/WiringPi GitHub - WiringPi/WiringPi: Gordon's Arduino wiring-like WiringPi Library for the Raspberry Pi (Unofficial Mirror for WiringPi b Gordon's Arduino wiring-like WiringPi Library for the R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