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우터 설정하기-2네트워크 2023. 12. 14. 15:42
이번에는 다른 유형의 라우터를 설정해 본다. 라우터 interface(활성화) 관련 명령어 모음이다.
@ ip 주소설정
(ex. fastethernet 0/0 을 활성화하고 ip를 192.168.0.100/24로 설정)
1. Router> en( enable ) : 사용자 모드에서 관리자 모드로 전환
2. Router#conf t( conf terminal ) : 전역설정모드로 진입3. Router(config)#int fas 0/0 (interface fastethernet 0/0) : interface fasethernet 0/0에 진입
4. Router(config-if)#no shutdown : 활성화
5. Router(config -if )#ip address 192.168.0.100 255.255.255.0 : ip 주소를 192.168.0.100으로 설정하고 서브넷 마스크 24비트이니 255.255.255.0으로 설정
6. Router(config-if)#exit : interface fasethernet 0/0에 나가기7. Router(config)#exit : 전역설정모드 나가기
8. Router#copy r s (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저장 명령어@ bandwidth
(ex. serial 2/0를 활성화하고 대역폭을 2048로 설정)
1. Router> en( enable ) : 사용자 모드에서 관리자 모드로 전환
2. Router#conf t( conf terminal ) : 전역설정모드로 진입3. Router(config)#int serial 2/0 ( interface serial 2/0 ) : serial 2/0에 진입
4. Router(config-if)#no shutdown : 활성화
5. Router(config-if)#bandwidth 2048 : 해당 인터페이스의 대역폭을 2048로 지정
* 뒤에 단위가 어떻게 나오냐에 따라 단위 맞게 곱해줘야함 (ex k = 1000, G = 10의 9승 등등)
6. Router(config-if)#exit : serial 2/0 에 나가기
7. Router(config)#exit : 전역설정모드 나가기
8. Router#copy r s (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저장 명령어@ clock rate
(ex. serial 2/0를 활성화하고 쿨럭속도를 72k로 설정)
1. Router> en( enable ) : 사용자 모드에서 관리자 모드로 전환
2. Router#conf t( conf terminal ) : 전역설정모드로 진입3. Router(config)#int serial 2/0 ( interface serial 2/0 ) : serial 2/0에 진입
4. Router(config-if)#no shutdown : 활성화
5. Router(config-if)#clock rate 72000 : clock 속도를 72k로 함, k는 단위가 1000이므로 1000을 곱해야함
6. Router(config-if)#exit : serial 2/0 에 나가기
7. Router(config)#exit : 전역설정모드 나가기
8. Router#copy r s (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저장 명령어@ description
(ex. fastethernet 0/0 을 활성화하고 description을 ICQA로 설정 )
1. Router> en( enable ) : 사용자 모드에서 관리자 모드로 전환
2. Router#conf t( conf terminal ) : 전역설정모드로 진입3. Router(config)#int fas 0/0 (interface fastethernet 0/0) : interface fasethernet 0/0에 진입
4. Router(config-if)#no shutdown : 활성화
5. Router(config-if)# description ICQA : 해당포트의 주석을 ICQA로 설정
6. Router(config-if)#exit : interface fasethernet 0/0에 나가기
7. Router(config)#exit : 전역설정모드 나가기
8. Router#copy r s (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저장 명령어@ ip 주소 입력 및 secodary 설정
(ex. serial 2/0 을 활성화하고 ip를 192.168.0.101/24와 192.168.0.102/24로 설정 )
1. Router> en( enable ) : 사용자 모드에서 관리자 모드로 전환
2. Router#conf t( conf terminal ) : 전역설정모드로 진입3. Router(config)#int serial 2/0 ( interface serial 2/0 ) : serial 2/0에 진입
4. Router(config-if)#no shutdown : 활성화
5. Router(config -if )#ip address 192.168.0.101 255.255.255.0 : ip 주소를 192.168.0.101으로 설정하고 서브넷 마스크 24비트이니 255.255.255.0으로 설정
6. Router(config-if)#ip address 192.168.0.102 255.255.255.0 secondary : ip를 추가 할때 secondary 씀
7. Router(config-if)#exit : serial 2/0 에 나가기
8. Router(config)#exit : 전역설정모드 나가기
9. Router#copy r s (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저장 명령어@ frame relay
(ex. serial 2/0 을 활성화하고 frame relay 방식으로 캡슐화 해라 )
1. Router> en( enable ) : 사용자 모드에서 관리자 모드로 전환
2. Router#conf t( conf terminal ) : 전역설정모드로 진입3. Router(config)#int serial 2/0 ( interface serial 2/0 ) : serial 2/0에 진입
4. Router(config-if)#no shutdown : 활성화
5. Router(config -if )# encapsulation frame-relay : 해당포트를 frame-relay 방식으로 캡슐화함
6. Router(config-if)#exit : serial 2/0 에 나가기
7. Router(config)#exit : 전역설정모드 나가기
8. Router#copy r s (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저장 명령어'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계층과 TCP/IP 4계층 (1) 2024.01.09 라우터 (1) 2024.01.03 네트워크 정리 (1) 2024.01.03 라우터 설정하기 -1 (0) 2023.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