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공부일지 5
    리눅스 2023. 12. 28. 19:21

    안드로이드(Android) 리눅스커널을 기반이며, 초기에는 달빅(Dalvik)가상머신 사용. 최근에는ART를 사용. JAVA가 주요 개발언어였지만 최근 공식지원언어는 Kotlin이 추가되었습니다. 엔진은웹키트를사용한다.

    2007년 11월에 구글이 안드로이드사를 인수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구글 안드로이드"라고도 부르고 있다.

    잘 알겠지만 "스마트 폰과 스마트 패드"등에서 주로 적용이 되고 있다. 모바일 운영체제로는 안드로이드 외에는 애플의 IOS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 모바일, 노키아의 심비안등이 있다.

     

    타이젠(TIZEN) 또는 타이젠 연합 리눅스 재단,리모 재단,삼성전자,인텔이공동으로 개발한 모바일 운영체제이다.

    리눅스로개발한 운영체제이고, 스마트폰  휴대용 장치들에 설치되어 사용되며,TV, 냉장고와같은 가정용 전자기기에 포함을 목적으로 하는 오픈 소스 모바일 운영체제이다.

     

    IVI즉 [In-VehicleInfotainment]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시스템을 말한다.

    Information(정보)  Entertainment의 합성어이다. 쉽게 말해 차 안에 설치되어 네비게이션이나 음악을 듣거나 기타 멀티미디어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장비를 말한다.

    자동차에장착되어 서비스되는 IVI는 현재는 제니비(GENIVI)연합에서주도를 하고 있으며, 애플, 구글등에서 자동차 IVI와연동하는 시도들을 많이 진행하고 있다. BMW, GM 등 자동차 업체와  윈드리버, 델파이등 반도체 제조업체, 장치제조업체, 소프트웨어, 서비스업체등이 참여하고 있다.

     

    임베디드 운영체제(Embeddedoperating system)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운영 체제를 말한다.

    보통전자제품,PDA, 휴대전화,디지털카메라등 소형 정보 기기와 자동차에 주로 사용된다. 해당기기의 제어를 위해 기계내에 장착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를 말한다. 대표적인 임베디드 운영체제는 팜이 개발한 팜(Palm)OS,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윈도 CE,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애플의 iOS 그리고구글의 안드로이드, IVI, 스마트TV, 스마트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나의 블로그에 있는 라즈베리파이도 임베디드 운영체제에 포함된다.

     

    클러스터(Cluster)는여러 대의 컴퓨터를 하나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 처럼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클러스터의종류로는 고계산용(성능) 클러스터(HPC) >>> 베어울프 클러스터, 고가용성클러스터(HA), 부하분산클러스터(LVS)로나뉜다.

    ① 고성능 컴퓨터(HPC, HighPerformance Computing/Cluster)또는 고계산용 클러스터 (베어울프 클러스터)

    대용량의정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고성능 컴퓨팅 환경을 말합니다.(프로세스들과 프로그램의 병렬화 필요)주로과학 계산용으로 사용된다. (구성요소:C Compiler, PVM, MPI )

     

     HA Cluster >> 고가용성 클러스터(High Availability Cluster)

    보편적인하드웨어와 네트워크 장비, 스토리자, UPS등으로 구성되며, 서비스의 예정된 중단 또는 예상치 못하게 중단될 때,중단시간을최소화하여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서비스 및 비용의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HACluster는 서비스 중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업그레이드 등을 위한 예고된 섭스 중지 시 중지된 서버에서 가동되던 서비스를 다른 노드로넘겨서 서비스의 중단을 최소화 한다.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無정전전원장치로 쉽게 말해 정전을 대비해 사용하는 대용량 배터리라고 생각하시면 된다.

     

    주로 서버를 운영할 때 갑작스러운 정전에 대비하여 사용하게되는 보조 전원장치입니다.

    ③ 부하분산 클러스터 (로드밸런싱- LVS : Linux Virtual Server )

    쉽게말해 부하(과부하)를분산한다는 말이다. 네트워크나시스템에 부하가 발생했을 때 부하 요인을 다른 네트워크와 시스템을 분산함으로 전체적인 네트워크 밸런스를 맞춘다는 의미이다.

    부하분산클러스터는 DR(DirectRouting) 방식과NAT(NetworkAddress Translation)방식이 있다. 주로 사용자가 많은 웹 서비스에 많이 사용됩니다.

     

    파티션(Partition) : 하나의 물리적인 공간을 여러 개의논리적인 디스크로 나누는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해 도서관에 있는 칸막이 회사에 있는 칸막이 같은 것들을 파티션이라고 부른다.

    파티션의 종류 : 주파티션(Praimary)와 확장파티션(Extended), 논리파티션(Logical)으로 나뉜다.

    - 주 파티션 : 디스크 하나당 주 파티션은 최대 4개까지 생성 가능, 주로 운영체제를 설치 ( / ) 루트 파티션이라고도 함.
    운영체제 설치 시 최소한 설치되어야하는 파티션은 
    루트(/ )파티션과swap(스왑)파티션으로 구성된다.
    스왑(swap)파티션은 물리적인 메모리의 부족현상을대비하기 위해 설정한다.
    주 파티션 한 개를 확장 파티션으로나눌 수 있습니다.

    -확장파티션과 논리파티션 : 확장 파티션은 논리파티션으로 최대 12개까지 생성 가능
    (
    확장파티션은 논리파티션에 대한 정보를저장),(논리파티션은 주로 데이터를 저장)
    쉽게 말해 확장파티션에 직접 데이터를저장할 수는 없다는 말이며,확장파티션을 나눠준 후에 다시논리파티션으로 나눠 주어야 D드라이브, E드라이브 같이 드라이브문자를 할당해 사용할 수 있다는 말이다.
     
    파티션을 나눌 때 최적의 성능을 고려해 4개에 대한 파티션 배분을 권장하고 있다.
    /,swap,/usr,/home, /var <<  루트( / )를 포함하면 총 5

     

    패킷(Packet) : 데이터 전송단위

    원래 Packet package bucket의 합성어로 소포 또는 한 묶음이란 뜻을 갖고 있는데, 데이터 통신에서 말하는 패킷은 데이터가 전송되는 기본 단위를 의미한다., 인터넷상의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에서 큰 용량의 데이터들을 한꺼번에전송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한 조각으로 나누어서 전송을 하게 되는데 이 하나하나의 조각들을 패킷이라고 부른다. 패킷은 데이터와 목적지의 주소, 보내는 사람의 주소 같은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무선 인터넷에서 1패킷은 512byte, 한글 220자에 해당하는 데이타량을 의미한다.

     

    노드(node) : 데이터 통신망에서,데이터를전송하는 통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단위.

    주로 통신망의 분기점이나 단말기의 접속점을 말한다.

     

    프로토콜(Protocol) : 네트워크 언어이다.

    한국사람들이 한글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고, 미국사람은 영어 등을 통해 소통을 한다. 그리고 같은 한국사람이라고 해도 나이 어린 친구들은 신조어들을 만들어 그들만 의사소통을 하며, 어른들은 고어로 의사소통을 합니다. 이러한 의사소통 수단을 네트워크에서는 프로토콜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때의 통신방식 및 절차 등을 정해 놓고 사용하게 된다.

    그래서 이 프로토콜을  일종의 통신규격(규약, 규정)이라도 부른다.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 구문(Syntax), 의미 (Semantics), 타이밍(Timing)
    구문 :“무엇을 즉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및 신호의 크기 등을 포함 무엇을전송할 것인가에 관한 내용이 들어 있는가.

    의미 : “어떻게 즉 데이터의 특정한 형태에 대한 해석을어떻게 할 것이며, 해석 후 어떻게 동작하게 할 것인가.. (전송의 조정 및 오류처리를 위한제어정보포함)

    타이밍 : “언제 즉 언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가와얼마나 빠른 속도로 전송할 것인가.

     

    네트워크카드( NIC 즉 (Network Interface Card), 이더넷 카드 또는 이더넷 (Ethernet), 랜카드(LAN Card), CSMA/CD) : 컴퓨터의 확장슬롯에 장착하여 유선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가능하도록 연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네트워크카드는 여러가지 이름을 가지고 있으므로 어떤 이름으로 나와도 헷갈리면 안된다.

    네트워크 카드는 예전에는 별도로 추가하는 하드웨어 였는데, 요즘에는 메인보드에 기본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일지 4  (0) 2023.12.14
    공부일지 3  (0) 2023.12.12
    공부일지 2 (vi편집기, x윈도우)  (0) 2023.12.11
    공부일지 1  (0) 2023.11.16
Designed by Tistory.